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 동명사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는 단어 명사, 동명사구, 명사절이 올 수 있습니다. to 부정사구는 절대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는 올 수 없습니다. 오늘은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들어가는 동명사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동명사 동사구를 명사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동사구를 to부정사구와 동명사구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to부정사구는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할 수 있는데 반해 동명사구는 명사 역할 만을 합니다. 동명사구는 명사 역할만 하며 주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서 쓰입니다.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란 결국 전치사의 뒷자리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치사의 뒷자리에는 명사가 온다라고 정의들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정의는 자칫 오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먼저 단어 .. 2021. 4. 3.
형용사 위치 2형식 주격보어와 5형식 목적격보어 명사 단어 앞뒤의 형용사 위치가 아닌 문장 속의 형용사 위치에 대한 파악은 토익 팟 5 문제풀이와 팟 7 해석을 위해 중요합니다. 특히 2 형식 문장의 주격 보어와 5 형식 문장의 목적격 보어의 형용사 위치에 대한 개념 정리와 함께 해석 방법까지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쉬운 문장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2 형식 문장의 형용사 위치 - 주격 보어 2 형식 문장 중 가장 쉬운 예문으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I am a boy. She is beautiful. 2 형식 문장의 동사는 be동사입니다. 이 be동사를 시제와 인칭 관계없이 모두 모아 보면 'am, is , are, was, were, has been, have been, will be'입니다. 주격 보어로는 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명사와 .. 2021. 4. 3.
시간, 조건 부사절에서 현재동사는 미래동사를 대신한다! 시제 일치의 예외사항이 바로 '시간, 조건의 부사절에서 현재 동사는 미래 동사를 대신한다'라는 내용입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시제 일치의 내용을 살펴본 뒤에 왜 맞지 않은 시제를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시제 일치 일반적으로 시제 일치라는 것은 어떤 사건을 이야기할 때 같은 시간대를 묶어서 말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거는 같은 과거끼리, 미래는 같은 미래끼리 묶어서 말하는 게 보통입니다. 이를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When she was in England, she met her husband. 그녀가 영국에 있을 때, 그녀는 그녀의 남편을 만났다. 이렇듯 영국에 있었던 때도 과거이고 남편을 만난 것도 과거라고 표현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미래 시제여도 상황은 같습니다. '다.. 2021. 3. 31.
과거완료와 미래완료는 특정 조건하에서만 쓰는 시제 완료 시제 중에서 토익 시험 출제 율도 낮고 이해도 마저 낮은 것이 바로 과거완료와 미래완료 일 것입니다. 이 과거완료와 미래완료는 특정 조건하에서만 쓰는 시제라는 것을 아는 경우도 적은 것 같습니다. 이 두 시제의 특징들을 아주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과거완료 보다 쉬운 과거완료에 대한 이해를 위해 다음 예문을 잘 봐주시기 바랍니다. 그저께 삼촌이 놀러 왔어. 이 문장의 시점은 '그저께'라고 표시되어 있어서 누구나 어제보다 앞서 과거에 삼촌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에 '그저께'라는 시점 표현을 쓰지 않고 그저께 삼촌이 왔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을까요? 좀 더 복잡해지지만 다음처럼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드디어 어제 삼촌이 갔다. 사실 그 전날 삼촌이 왔었거든. '그저께'와 같은 시점 .. 2021. 3. 31.
전치사 until과 by 그리고 for와 during 구분 방법 정기 토익 팟 5의 출제 포인트 중 전치사 관련 문제는 매달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이중 전치사의 뜻은 같은데 그 쓰임이 다른 전치사 문제가 바로 until과 by 그리고 for와 during 구분 문제입니다. 전치사 until과 by 구분 방법 until과 by의 공통점은 둘 다 미래 시점 전치사이며 뜻은 '~까지'입니다. 일반적으로 until은 '계속의 의미'로 by는 '일회성'의 의미로 정의합니다. 어떻게 하면 계속과 일회성을 구분할 수 있는지 그 구분점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until과 by의 구별에 앞서 전치사 개념 정리가 우선 되어야 합니다. 전치사는 명사로 끝이 나고 그 끝 명사에 의해 어떤 전치사를 써야 할지가 정해지게 됩니다. 전치사구의 품사는 오로지 형용사 아니면 부사입니다. 전치사가 빈.. 2021. 3. 31.
to부정사 가주어 진주어 용법 (feat. 가목, 진목) to 부정사구란 동사구 내용을 명사, 형용사, 부사로 바꾸기 위해 동사구 앞에 기호 'to'를 달고 쓰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명사 역할 특히 주어와 목적어 역할하는 to 부정사에 적용되는 용법들이 있습니다. 바로 to 부정사 가주어, 진주어 용법과 가 목적어 진목 적어 용법이 그것인데요 이 용법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주어 진주어 용법 To have a balance diet is important. 위 문장의 주어는 'To have a balance diet' 이고 동사는 'is'입니다. to 부정사구를 주어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문장은 문법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to 부정사구가 주어로 올 경우에는 to .. 2021. 3. 30.
to 부정사의 의미상주어 to 부정사구란 문장의 본동사 이외의 추가적인 동사 내용을 사용하고 싶을 때 동사구에 'to'라는 기호를 달아서 쓰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본동사에 주어가 있듯이 to가 달린 동사구 즉, to 부정사에도 그 의미상 주어는 존재하는 게 당연한 것일 것입니다. to부정사구 동사 내용이라는 것은 영어 상의 모든 동사구를 말하는 것으로 1 형식부터 5 형식까지의 모든 영어 문장에서 주어를 뺀 나머지 동사구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 동사구에 to를 달아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to부정사구'입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She wants to meet them immediately. 이 문장의 본동사는 want이며 이 want의 주어는 She라는 것은 쉽게 인지 될 것입니다... 2021. 3. 30.
사역동사 have, make, let, help의 목적격보어 사역동사 have, make, let, help는 5 형식 문장의 동사들입니다. 이 사역동사들이 사용되는 5 형식 문장에서 목적격 보어가 동사원형, p.p 등 무엇이 오는지가 중요합니다. 사역동사들에 따라 목적격 보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역동사 사역동사에서 사역이란 '시키다'의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사역동사들은 기본적으로 '시키다'의 뜻을 가진 동사들입니다. 사역동사들이 사용되는 문장은 5 형식 문장입니다. 5 형식 문장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 관계가 '주어와 동사'관계라는 것입니다. 더불어 이전 포스팅 '5 형식 목적 보어의 원형은 to 부정사구다' 를 먼저 읽고 오시기를 추천드립니다. 5형식 목적격보어의 원형은 to 부정사구다. 그래야 사역동.. 2021.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