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 일치의 예외사항이 바로 '시간, 조건의 부사절에서 현재 동사는 미래 동사를 대신한다'라는 내용입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시제 일치의 내용을 살펴본 뒤에 왜 맞지 않은 시제를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시제 일치
일반적으로 시제 일치라는 것은 어떤 사건을 이야기할 때 같은 시간대를 묶어서 말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거는 같은 과거끼리, 미래는 같은 미래끼리 묶어서 말하는 게 보통입니다.
이를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When she was in England, she met her husband.
그녀가 영국에 있을 때, 그녀는 그녀의 남편을 만났다.
이렇듯 영국에 있었던 때도 과거이고 남편을 만난 것도 과거라고 표현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미래 시제여도 상황은 같습니다. '다음 주에 친구 만나서 나는 친구와 영화를 볼 예정이다'처럼 말입니다.
- He has taught English to college student since he moved here.
주절 동사가 현재 완료일 때 since 이하는 과거 동사를 사용한 전형적인 현재 완료의 시제 일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표현하다 보면 언제나 시제를 맞춰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일단은 시제 일치라는 일반적 상황에 좀 더 집중해보았습니다.
이유는 일반적인 시제 일치의 예외적인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서입니다.
시간, 조건 부사절에서는 현재 동사가 미래 동사를 대신한다.
일반적 시제 일치의 예외사항을 다음 예문을 시작으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와 B 중 알맞은 문장은 어떤 것일까요?
- A: If it will rain tomorrow, we will cancel the party.
- B: If it rains tomorrow, we will cancel the party.
- A: if 부사절이 미래 동사를 사용하고, 주절도 미래 동사를 사용했습니다.
- B: if 부사절은 현재 동사를 사용하고, 주절은 미래 동사를 사용했습니다.
A문장이 두 개의 시제를 일치시키고 있어서 옳은 문장 같아 보입니다.
그러나 정답은 B문장입니다.
지금부터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It rains는 '비가 온다'로 현재시제입니다.
- If it rains은 '비가 오면 또는 비 오면'이 됩니다.
- 현재로 해석되지 않고 미래로 해석됩니다.
- If it rains은 '비가 오면 또는 비 오면'이 됩니다.
- It will rain은 '비가 올 것이다'로 미래 시제입니다.
- If it will rain은 '비가 올 것이라면'이 됩니다.
- 여전히 미래로 해석됩니다.
- If it will rain은 '비가 올 것이라면'이 됩니다.
정리하면 A문장은 if부사절도 주절도 미래 표현입니다. B는 동사는 현재 동사임에도 if (만약에) 때문에 충분히 미래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영어는 A처럼 반복되는 표현을 채택하지 않고 B의 문장을 채택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if의 의미 때문에 굳이 미래 동사를 반복하지 않고도 현재 동사로 미래를 표현하다 보니 시제 일치의 예외적인 사항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조건의 부사절을 예를 들어 살펴보았습니다.
다른 시간, 조건의 부사절에서도 위와 동일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글의 예문을 준비했습니다.
- after(~후에): 집에 들어온 후에는, 꼭 손 씻어라.
- before(~전에): 집에 들어오기 전에, 전화해라.
- when(~때): 집에 들어올 때, 두부 한모 사와라.
- until(~까지): 비가 그칠 때까지, 여기서 기다리고 있어라.
- as soon as(~하자마자): 집에 들어오자마자, 손부터 씻어라.
- once(일단 ~하면): 일단 집에 들어오면, 손부터 씻어라.
- if(만약에): 만약에 내일 비 오면, 우리 소풍 안 간다.
- unless(만약에 ~하지 않는다면): 만약에 내일 비가 오지 않으면, 우리 소풍 간다.
시간, 조건 부사절 접속사의 의미가 현재 동사와 어울려도 충분히 미래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주절 동사가 미래 시제인데도 시간, 조건 부사절의 동사는 현재 동사가 미래 동사를 대신할 수 있는 것입니다.
부연설명
부사절만을 해석해서는 솔직히 말해 현재시제인지 미래 시제인지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 집에 들어올 때(when)
- 집에 돌아온 후에(after)
여기에 주절의 미래 표현이 함께하면 모두 미래 시제를 나타낸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 집에 들어올 때, 두부 한모 사와라.
- 집에 들어온 후에는, 꼭 손발 씻어라.
명령문도 가까운 미래 시제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시간, 조건 부사절 접속사의 의미와 현재 동사가 결합해도 미래 표현이 가능한 것은 주절의 동사가 미래 동사일 때라는 조건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토익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 동명사 (0) | 2021.04.03 |
---|---|
형용사 위치 2형식 주격보어와 5형식 목적격보어 (0) | 2021.04.03 |
과거완료와 미래완료는 특정 조건하에서만 쓰는 시제 (0) | 2021.03.31 |
전치사 until과 by 그리고 for와 during 구분 방법 (0) | 2021.03.31 |
to부정사 가주어 진주어 용법 (feat. 가목, 진목) (0) | 2021.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