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익문법

형용사 위치 2형식 주격보어와 5형식 목적격보어

by 제우스12 2021. 4. 3.

명사 단어 앞뒤의 형용사 위치가 아닌 문장 속의 형용사 위치에 대한 파악은 토익 팟 5 문제풀이와 팟 7 해석을 위해 중요합니다. 


특히 2 형식 문장의 주격 보어와 5 형식 문장의 목적격 보어의 형용사 위치에 대한 개념 정리와 함께 해석 방법까지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쉬운 문장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2 형식 문장의 형용사 위치 - 주격 보어


2 형식 문장 중 가장 쉬운 예문으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 I am a boy.
  • She is beautiful. 

 

2 형식 문장의 동사는 be동사입니다.


이 be동사를 시제와 인칭 관계없이 모두 모아 보면 'am, is , are, was, were, has been, have been, will be'입니다.


주격 보어로는 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명사와 형용사가 be동사 뒤에 위치하게 됩니다.


영어 문장을 읽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그냥 해석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문장을 품사로 읽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문장 성분으로 읽는 것입니다.


단순 해석이 아닌 품사로 읽는 것이나 문장 성분으로 읽은 것에 다소 헷갈림을 가진 사람들도 있습니다.

 


먼저 문장을 품사로 읽어 보겠습니다.

 

  • She (대명사)  is (동사) beautiful (형용사).
  • I (대명사)  am (동사) a boy (명사).

 

동일한 문장을 문장 성분으로 읽어보겠습니다.

 

  • She (주어)  is (동사)  beautiful (보어).
  • I (주어)  am (동사)  a boy (보어). 

 

너무 쉬운 문장을 예로 들어 설명했기에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제는 해석을 해보겠습니다.

2 형식 문장을 해석할 때는 항상 be 동사와 보어를 하나의 덩어리로 묶어서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 She는 beautiful하다.
  • I는 boy다. 


2 형식 문장의 형용사 위치를 알아보면서 주격 보어인 명사와 형용사를 같이 묶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이처럼 쉬운 예문을 통해 이와 같은 설명을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렇게 쉬운 단어로 구성된 2 형식을 읽어내는 것은 쉽게 할 수 있는데 다소 어려운 단어로 구성된 경우는 못 읽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래서 문장 구조로 문장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문장의 구조는 변하지 않은 채 단어만 바뀐다는 것을 인지 할 수 있다면 어떤 어려운 단어로 구성된 문장이라 해도 어렵지 않게 문장을 읽어낼 테니까 말입니다.

 

5 형식 문장의 형용사 위치 - 목적격 보어

 

같은 논리로 이번에는 5 형식 문장의 형용사 위치인 목적격 보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형식의 대표 문장인 I am a boy, She is beautiful과 같은 대표 문장으로 다음 문장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Boys make girls happy.   

 

2 형식 대표 문장들과는 달리 위의 5 형식 문장을 해석시켜보면 5 형식 문장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해석을 '소년들은 만든다/ 소녀들을/ 행복하게'로 해석합니다.

 


5 형식 문장에서 '목적어와 목적 보어의 관계'를 '주어와 동사의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목적어를 해석할 때 일반적인 목적어 조사인 '을,를' 대신에 주어의 조사인 '은, 는, 이, 가'를 붙여서 해석해야만 합니다.


해석을 다시 하면 '소년들은 만든다/ 소녀들이/ 행복하게'가 되어야 합니다.

 

2 형식 문장과 5 형식 문장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

 

위에서 정리한 2 형식 동사는 오직 be 동사만이었고 주격 보어로써 형용사만 살펴보았습니다.


추가적인 2 형식 동사들과 추가적인 형용사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적인 2 형식 동사들로 be 동사와 같은 취급을 하는 become, remain, stay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이 동사들의 사전적 의미는 있지만 b동사와 같이 봐도 괜찮습니다.

be동사 뒤의 형용사로 취급받는 것들에 단어 형용사뿐만 아니라 진행형의 ing와 수동태의 p.p 그리고 전치사 +명사를 추가해야만 합니다.


예문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She is beautiful.
  • He is reading a book.
  • The book was written.
  • She is in the office. 

 

진행형의 ing와 수동태의 p.p는 분사 형용사라 하며 품사는 형용사로 봅니다.


전치사구의 품사는 오로지 형용사, 부사 역할만을 하는데 be동사 뒤의 전치사구는 무조건 형용사입니다.

 


5 형식 문장의 추가적인 내용은 당연 5 형식 동사들입니다.


위의 예문 'Boys make girls happy.'의 make와 같이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를 갖는 동사들이 있습니다.

 

  • consider (생각하다)
  • keep (유지하다)
  • make
  • find (생각하다)
  • deem (생각하다)
  • think (생각하다)
  • leave (남겨두다) 

 

이 동사들 중 find 같은 경우에는 '찾다'아니라 '생각하다'로 해석하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